2025.03.26
6
전체
복지뉴스
보건복지부가 노인일자리 확대를 위해 75세 이상 공익형 일자리를 전년보다 늘린 올해 약 70만개를 운영한다.
24일 복지부가 최근 공개한 2024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요구사항에 대한 처리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취약 노인 참여율이 높은 공공형 노인일자리를 꾸준히 확대하고 양질의 노인일자리를 개발하라고 복지부에 주문했다.
이에 복지부는 75세 이상 고령층을 위해 공익형 일자리는 2023년 60만8000개, 지난해 65만4000개에서 올해 69만2000개로 3만8000개 늘린다. 이어 오는 2027년까지 노인 인구의 10% 수준에 노인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으로 2027년까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사회서비스·민간형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사회서비스·민간형 비중은 2023년 31.1%에서 지난해 36.5%로 커졌고 올해는 37%이다.
복지부는 노인일자리 조직도 확대했다. 지난 1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4명 규모의 신사업부를 신설해 일자리 발굴에 나선다. 이를 위해 노노케어(노인), 보육시설 봉사(아동), 생활시설 자원봉사(취약계층) 등 공익활동형에서 돌봄 영역 노인일자리를 발굴해 늘릴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경기도 자동심장충격기 관리단, 강원도 늘봄학교 지원사업 등 지역 내 특화 사업을 발굴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스마트시설 안전관리 매니저 등 전국화사업을 추진하는 등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강화한다.
복지부는 늘어나는 노인일자리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노인인력개발원에 전담 부서(3명)를 신설해 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공익활동형 참여자의 안전사고 발생 시 상해보험 범위를 확대해 지원을 넓히고 2분기에 안전사고 관련 법률상담 지원 체계도 마련한다. 사업단위별 위험성을 수치화하는 사업안전등급제를 4분기에 시작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중도 탈락자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또 활동 역량과 연계 일자리가 일치하도록 참여자 신체능력 평가 지표 등 선발기준 마련을 위해 현재 연구용역을 진행 중으로 연구 결과를 반영해 올해 안에 선발기준을 개선할 계획이다.